반응형 개발하는고양이196 리액트 훅이란? 참고: Do It! 리액트 네이티브 액 프로그래밍 리액트 훅 리액트 프레임워크는 컴포넌트라는 기법으로 가상 DOM 객체를 만들고나서 가상 DOM 객체에 어떤 변화가 감지되면 해당 변화만 화면에 재렌더링하여 전체 렌더링 속도를 빠르게 하는데 초점이 맞춰진 프레임워크이다. 리액트 프레임워크는 오랫동안 객체 지향 언어의 상속 개념에 맞춘 클래스 형태로 제작되었다. 그런데, 클래스 컴포넌트 기술을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도 복잡하고, 1초당 60회 정도의 매우 빠른 재렌더링을 실행해야 할 때 화면에 정상적인 렌더링이 안 되는 버그를 내포하고 있다. 리액트 개발팀은 클래스 컴포넌트를 구현할 때의 복잡함을 덜고자 컴포넌트를 함수 형태로 만들 수 있게 하였고, 2019년 2월 16.8.0 버전을 내놓으면서 함수 컴포넌트.. 2023. 1. 29. [리액트네이티브 + expo]터치 할 때마다 이미지 바뀌게 하기 리액트 네이티브 + 엑스포 조합으로 앱을 하나 제작하려고 준비중이다. 생각보다 쉬운 앱인데 간단한 인강 하나 보고 무작정 만드려니 생각보다 쉽지 않다. 우선 기본은 play 버튼이 노출되고 play 버튼을 터치하면 pause 버튼으로 바뀌게 하려고 하는데 html + javascript 조합이었으면 10초면 끝날건데 리액트 네이티브로 하려고 하니 한시간 넘게 걸렸다. 😂 import React, {useState} from 'react'; import { StyleSheet, Text, View, TouchableOpacity , Image} from 'react-native' import startImg from '../assets/images/start.png' import pauseImg from .. 2023. 1. 28. [GIT&리눅스] .git 디렉터리 삭제 시 override 오류 .git 이 생성된 디렉터리를 지우려고 할 때 계속 override 어쩌고 저쩌고? 가 뜬다. 이 땐 그냥 강제로 삭제하는 옵션을 붙여서 지우면 된다. rm -rf .git 2023. 1. 23. [GitHub] 깃허브에 블로그 만들기 참고) Do It! 깃&깃허브 입문 1. 깃허브 검색창에서 'jekyll'을 검색하여 테마로 쓸만한 소스를 찾는다. (blog 나 theme 라는 단어가 있고 즐겨찾기 숫자가 많을수록 괜찮은 테마를 찾을 수 있다. 대부분 설명란에 데모 사이트 링크가 있으니 귀찮더라도 데모 링크를 눌러서 괜찮은 테마를 찾아보는게 좋다.) 아니면, jekyllthemes.org 사이트에서 찾는것도 방법이다. 나는 jekyllthemes 홈페이지에서 찾아서 깃허브로 이동했다. 2. 테마 소스 저장소를 내 저장소로 포크한다. 3. Repository name에 내가 만들고자하는 repository 이름을 적고 그 뒤에 '.github.io' 를 붙여서 저장한다. 4. 지킬 테마를 사용하려면 가장 먼저 환경 설정을 해야한다. _.. 2023. 1. 23. [GitHub.08] 원격 브랜치 정보 가져오기 - git fetch 참고) Do It! 깃&깃허브 입문 패치(fetch)는 '불러오다, 가져오다' 라는 뜻이다. git fetch 명령은 원격 저장소의 정보를 가져오는 기능이 있다. pull 이 원격 저장소의 커밋을 무조건 지역 저장소와 합친다면, 패치 명령은 원격 브랜치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그 정보만 가져온다. 팀 작업을 할 때 다른 사람이 수정한 소스를 한번 더 훑어보고 지역 저장소와 합치고 싶다면 pull 대신 fetch 를 사용해서 커밋을 가져 온 다음 지역 저장소와 합치면 된다. 1) git_office 저장소로 이동 한 후 git fetch 명령을 입력한다. (참고로 git_home 저장소에서 f3.txt 파일을 새로 만들어주고, push 까지 진행한 뒤 작업해준다.) 2) ls -al 명령을 사용해서 어떤 파.. 2023. 1. 23. [GitHub.07] 여러 컴퓨터에서 원격 저장소 함께 사용 - clone 참고) Do It! 깃&깃허브 입문 원격 저장소 복제하기 - git clone 원격 저장소를 기존에 연골된 지역 저장소 외에 다른 지역 저장소에서 사용하려면 원격 저장소에 담긴 내용 전체를 지역 저장소로 가져와야 한다. 원격 저장소를 지역 저장소로 똑같이 가져오는 것을 '복제한다' 또는 '클론(clone)', '클로닝(cloning)' 이라고 한다. 테스트 상황 : git_home (집에서 작업), git_office (회사에서 작업) 한다고 가정 1) 기존에 만들어놓은 깃허브 원격 저장소를 그대로 사용하고, 추가로 git_home이라는 저장소로 복제해보겠다. [Code]버튼을 누른 후 'HTTPS' 항목에 있는 복사 아이콘을 눌러서 원격 저장소의 주소를 복사한다. 2) 터미널 창에서 git_home 디.. 2023. 1. 23. [GitHub.06] 깃허브에 SSH 원격 접속하기 참고) Do It! 깃&깃허브 입문 SSH 원격 접속이란 SSH는 Secure Shell의 줄임말로 보안이 강화된 안전한 방법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이다. 기본적으로 프라이빗 키(Private Key)와 퍼블릭 키(Public Key)를 한 쌍으로 묶어서 컴퓨터를 인증한다. 퍼블릭 키는 외부로 공개되는 키이고, 프라이빗 키는 아무도 알 수 없게 사용자 컴퓨터에 저장되는 키다. 사용자 컴퓨터에서 SSH 키 생성기를 실행하면 프라이빗 키와 퍼블릭 키가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 깃허브의 원격 저장소에 뭔가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서 깃허브에게 내가 해당 저장소를 만든 계정의 주인임을 인증해야 한다. 웹 브라우저에서 깃허브 저장소에 접속할 때나 SourceTree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해 .. 2023. 1. 22. [GitHub.05] GitHub 저장소 살펴보기 * 참고 1) 깃허브계정을 누르면 계정에 대한 요약 정보 화면으로 이동하고, 저장소 이름을 누르면 저장소 파일 목록 화면으로 이동 2) 저장소 즐겨찾기(Star) 숫자가 높을수록 좋아하는 사용자가 많다는 뜻으로 그만큼 인기 있는 오픈 소스일 확률이 높음. 3) 깃허브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참여하거나 직접 소스를 분석하면서 공부하려면 먼저 저장소를 복제해야 함. 2023. 1. 22. [GitHub.04] 원격 저장소에 올리기(push) & 내려받기(pull) 참고 : Do It! 깃&깃허브 입문 지역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를 연결하면, 지역 저장소의 소스를 원격 저장소에 올릴 수도 있고, 원격 저장소의 소스를 지역 저장소로 내려받을 수도 있다. 지역 저장소의 소스를 원격 저장소로 올리는 것을 '푸시(Push)' 라고 하고, 원격 저장소에서 지역 저장소로 내려받는 것을 '풀(Pull)'이라고 한다. 원격 저장소에 파일 올리기 - git push 원격 저장소에 처음 접속할 때 나타나는 내용 중 두번째 항목이 바로 푸시하라는 명령이다. 참고) github 에서 master 가 아닌 main 으로 바뀐 이유 - https://devmango.tistory.com/82 참고 1) 터미널 창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지역 저장소의 브랜치를 origin, 즉 원격 저장소.. 2023. 1. 22.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