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git 초기화하기 - git init
1) git 저장소를 만들 디렉터리 하나를 새로 만들어 준다.
mkdir git-test
cd git-test
2) 해당 디렉터리에 저장소를 만들기 위해 git init 명령을 입력한다.
깃을 사용할 수 있도록 디렉터리를 초기화하는 작업이다.
git init
해당 명령어를 입력해주고 나면 '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in ... ' 라는 메세지가 나타나며, 해당 메세지가 표시되면 이제 해당 디렉터리에서 깃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디레터리에 .git이 생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는데 이 디렉터리가 깃을 사용하면서 버전이 저장될 '저장소(repository)' 이다.
.git디렉터리가 탐색기에서 표시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숨겨져 있기 때문이다. 맥에서는Shift+Command+.을 눌러서 숨은 파일을 확인 할 수 있는데, 숨겨져 있다라는건 삭제하지 않도록 조심하라는 의미와도 같다. 즉,.git디렉터리에 버전이 저장되어 있는데 이 파일을 삭제하면 똥망 될 수 있다.
그리고 계정을 초기화 해준다. 해당 작업을 하지 않으면 commit 시 컴퓨터 계정으로 commit 된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devmango
git config --global user.email devmango@gmail.com

반응형
'Git&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 [GIT 03] 커밋 내용 확인 - log, diff (0) | 2023.01.18 |
|---|---|
| [GIT 02] 버전 만들기 - working tree, stage, repository (0) | 2023.01.18 |
| [GIT] 테스트(연습) 할 수 있는 온라인 사이트 (codeonweb) (0) | 2023.01.17 |
| [Github] master에서 main으로 반영 안 될 때 (0) | 2022.04.12 |
| [GitHub] main은? (0) | 2022.04.12 |
댓글